IP 뉴스
사물인터넷 한국이 주도 - ETRI 발표
2014.04.25 06:49
![]() |
사진설명=ETRI가 개발한 무선통신 칩셋을 내장한 보드의 모습. ETRI마크가 찍힌 것이 무선통신 칩셋이다. |
사물인터넷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과 무선통신 칩셋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1㎞ 이상의 장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하고 주파수 간섭이 적어 무선개인통신망(WPAN)을 비롯해 사물인터넷, 스마트그리드, 전기ㆍ가스ㆍ수도 등 유틸리티 인프라 시스템을 위한 무선통신 네트워크망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TV 유휴 주파수 대역(TVWS)을 활용한 WPAN용 무선통신기술이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에서 국제표준으로 승인됐고,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무선통신(SUN) 칩셋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TVWS WPAN 무선통신기술은 사물인터넷의 무선통신방식인 지그비(Zigbee)에 비해 서비스 반경이 넓고 주파수 간섭이 적어 장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지원한다. 도달거리가 길고 건물 투과율도 뛰어나 스마트그리드, 센서네트워크, 홈네트워크 등 다양한 네트워크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TV의 유휴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주파수 부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무선통신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사물인터넷용 무선통신 칩셋은 손톱만한 크기에 CPU 프로세서가 내장된 시스템온칩(SoC) 형태로 개발됐는데, 서비스 반경이 1㎞ 이상으로 확장이 가능하고 IP통신에 적합한 통신구조로 저전력이면서 신뢰성 높은 통신환경을 지원한다. 이 때문에 전기 사용량 데이터를 무선으로 자동 검침하는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어 향후 실시간 전기사용량 측정 및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최대전력량 모니터링 등에도 쓰일 수 있다.
아울러 대형 교량의 균열위험을 무선센서로 감지하고, 주차장에 있는 차량의 안전시스템, 가스누출 및 아파트 내부의 무선감시시스템 등에 널리 활용할 수 있다는 게 ETRI측의 설명이다.
ETRI는 관련 기술을 칩 개발 업체에 이전해 내년쯤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최상성 WPAN 응용연구실장은 "무선통신기술과 무선통신 칩셋을 융합하면 전기, 수도, 가스와 같은 유틸리티 사용량의 원격검침(AMI) 뿐만 아니라 건물의 에너지 사용을 모니터링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다양한 사물인터네서 서비스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이준기기자 @디지털 타임즈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TV 유휴 주파수 대역(TVWS)을 활용한 WPAN용 무선통신기술이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에서 국제표준으로 승인됐고,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무선통신(SUN) 칩셋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TVWS WPAN 무선통신기술은 사물인터넷의 무선통신방식인 지그비(Zigbee)에 비해 서비스 반경이 넓고 주파수 간섭이 적어 장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지원한다. 도달거리가 길고 건물 투과율도 뛰어나 스마트그리드, 센서네트워크, 홈네트워크 등 다양한 네트워크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TV의 유휴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주파수 부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무선통신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사물인터넷용 무선통신 칩셋은 손톱만한 크기에 CPU 프로세서가 내장된 시스템온칩(SoC) 형태로 개발됐는데, 서비스 반경이 1㎞ 이상으로 확장이 가능하고 IP통신에 적합한 통신구조로 저전력이면서 신뢰성 높은 통신환경을 지원한다. 이 때문에 전기 사용량 데이터를 무선으로 자동 검침하는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어 향후 실시간 전기사용량 측정 및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최대전력량 모니터링 등에도 쓰일 수 있다.
아울러 대형 교량의 균열위험을 무선센서로 감지하고, 주차장에 있는 차량의 안전시스템, 가스누출 및 아파트 내부의 무선감시시스템 등에 널리 활용할 수 있다는 게 ETRI측의 설명이다.
ETRI는 관련 기술을 칩 개발 업체에 이전해 내년쯤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최상성 WPAN 응용연구실장은 "무선통신기술과 무선통신 칩셋을 융합하면 전기, 수도, 가스와 같은 유틸리티 사용량의 원격검침(AMI) 뿐만 아니라 건물의 에너지 사용을 모니터링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다양한 사물인터네서 서비스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이준기기자 @디지털 타임즈